고객센터 :
- 지난 6개월 동안 ‘동반 부진’ 지속…서울 -1.62% < 지방 -1.83%<br>- 울산 -5.13%, 부산 -2.07% 등 부산ㆍ울산ㆍ경남(PK) 중심 낙폭 커
- ‘대ㆍ대ㆍ광’ 등 일부 지역 제외하면 수도권과 지방 양극화 더 커져
광주광역시 광산구 우산동에 위치한 한 아파트 단지의 모습. [사진=연합뉴스]
[헤럴드경제=양대근 기자] ‘집값 안정화’를 목표로 내건 정부의 9ㆍ13 대책이 시행 후 반년을 넘어섰다. 사실상 서울 지역의 다주택자와 고가아파트 보유자를 직접 겨냥했지만 전국적인 동반 부진으로 확대되면서 오히려 수도권보다 지방 집값이 더 떨어진 것으로 조사됐다.
지방의 집값 하락은 부산ㆍ울산ㆍ경남(PK) 지역을 중심으로 경기 침체 장기화가 가장 큰 원인으로 지목된다. 하지만 거래절벽 등 부동산 심리가 급격하게 얼어붙은 여파도 적지 않았던 것으로 풀이된다.
헤럴드경제가 한국감정원의 월별 시계열자료를 분석한 결과, 9ㆍ13 대책 효과가 본격적으로 나타난 지난해 10월초부터 올해 4월말까지 전국의 아파트 매매가격 변동률은 -1.47%를 기록했다. 권역별로 보면 수도권은 -1.09%로 상대적으로 선방한 반면 지방은 -1.83%로 부진했다. 서울의 경우 -1.62%로 지방보다 하락폭이 적었다. 같은 기간 아파트를 포함한 전체 주택 종합가격에서도 지방(-0.63%)이 서울(-0.54%) 보다 더 큰 낙폭을 나타냈다.
지역별로는 PK 지역의 집값 하락이 두드러졌다. 지난 6개월 동안 울산의 아파트 매매가격은 -5.13%를 기록하며 전국 광역자치단체 중 최하위에 머물렀다. 이어 경북(-3.67%), 충북(-3.66%), 경남(-3.50%) 등도 부진한 흐름을 이어갔다.
6대 광역시 중에서는 울산에 이어 부산(-2.07%)의 낙폭이 컸다. 반면 일명 ‘대ㆍ대ㆍ광’으로 불리는 대전(1.63%), 광주(0.86%), 대구(0.60%) 지역은 되레 아파트 가격이 상승해 대조적인 모습을 보였다.
문제는 9ㆍ13 대책 이후 서울과 지방의 집값 양극화가 전혀 좁혀지지 않았다는 점이다. 지난 대책 발표에서 정부는 무엇보다 집값 안정화를 기치로 내걸었다. 그 결과 서울의 집값 폭등은 막았지만 이로 인한 부작용이 지방까지 번졌다는 비판에서 자유롭지 않은 부분이다.
시계열 시점을 작년 1월부터 12월말까지 1년 동안 아파트 매매가격 변동률로 맞춰보면 서울은 6.6%가 오른 반면 지방은 -2.92%로 부진했다. 이후 집값 변동률을 감안하면 대ㆍ대ㆍ광을 제외하고 서울과 지방 격차는 더 벌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분양 시장에서도 지방의 부진이 이어지고 있다.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 3월 말 기준 전국 미분양 주택은 6만2147가구로 전월(5만9614가구) 대비 4.2%(2533가구) 증가했다. 시ㆍ군ㆍ구별 미분양 상위 5개 지역은 대부분 비수도권 지역이 차지했다. 경남 창원시(6750건)가 여타 지역대비 미분양이 월등히 많았고, 경기 평택시(2056가구), 경북 경주(2005가구), 경남 거제시(1841가구), 충남 청주시(1838가구) 등이 뒤를 이었다.
양지영 R&C연구소장은 “지방의 경우 공급이 계속되고 있지만 그에 따르는 수요가 뒷받침되고 있는 지는 의문”이라면서 “일부 지방 혁신도시들이 인프라 구축이 안 되고 있고 기업들도 빠져나가는 상황을 감안하면 당분간은 조정 장세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”고 설명했다.
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 수석전문위원은 “올해는 지역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전체적으로는 조정 장세이고 단기적으로 급반등을 하기 어렵기 때문에 보수적인 접근이 필요하다”면서 “이미 주택시장에 반영돼 있는 세금 변수보다는 거시경제와 금리 등 주택시장 외 변수가 향후 시장에 더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다”고 조언했다.
bigroot@heraldcorp.com
첨부파일